기억 끝의 집

I’ll always remember us this way

내가 숨 쉬는 너희가 좋아^^

삶의 덤/영화, 프레임 속의 세상

젊은 날의 마돈나 '넥스트 베스트 씽'

헬로우 럭키 찬! 2019. 9. 29. 08:55
728x90

넥스트 베스트 씽(The Next Best Thing) 2000 제작

개봉: 2001.11.24.

감독: 존 슐레진저

출연: 루퍼트 에버렛, 마돈나, 린 레드그레이브, 벤자민 브랫   


올레가 제공하는 무료 영화 창고에서 발견했어요.

? 마돈나?

20년 전 영화이긴 하지만서두 여전히 미쿡 연예계의 관심을 비껴가지 않는,

올해 우리나이로 61세인 이분.....

얼마 전에는 14번 째 정규앨범 ‘Madame X’로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구러더라고요.ㅎ

 

사실 이 영화도 초반부에 귀를 솔깃하게 했던 노래 때문에 끝을 보긴 했습니다만.^^

엔딩 크레딧을 받쳐 주는 마돈나의 아메리칸 파이....

 

1971년 돈 맥클린의 첫 히트곡인 포크송을

마돈나가 댄스팝 버전으로 리메크한 곡이랍니다.

멜로디도 좋았지만 비올라 같은 또 다른 그녀의 음색에 푸욱 빠지게 되었네요.

 



게이인 닐의 남친 장례식에서 함께 흥얼거리던 노래가 바로 아메리칸 파이.....

후욱 빨려 들어서 바로 리써치 모드, 유튜브에서 찾아 왔어요.^^


몇 줄짜리 시놉시스에서 가벼운 로코물 쯤으로 생각했고요,

촬영 당시 대략 40대 초....

헐리웃의 잘 나가는 중년 가수 연기 넘보기로 들어 간 거였습니다.

 

결론은,

‘너의 시작은 가벼웠으나, 그 끝은 대략 무거울 것이니......

누구도 어쩔 수 없는 그 무게 때문에 자칫 우울해 질 수도 있을 것 이니라


 

요가 강사인 노처녀 애비는 2년 동안 사귀며 동거하던 남자로부터 이별을 통고 받고,

게이 절친 로버트 집에서 푸념과 위로의 거한 밤을 보내게 됩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술은 종종 새로운 역사를 쓰게 해 주는 사랑과 변수의 묘약!



이후, 서로 서먹하게 지내던 어느 날 로버트가 운영하는 화원으로 애비가 찾아 와요.

그리고 뱃 속에서 자라고 있는 네 아이의 아빠 역할을 해 줄 수 있겠냐고 의사를 타진해 옵니다.

물론 각자의 사생활과 무관하다는 무언의 약조가 포함된 거지요.

이렇게 하여, 일단은 행복해 보이는 요상한 형태의 가족이 탄생했습니다.


 

정지된 시간은 이미 시간의 범주를 벗어난 것,

우여곡절을 겪으며 아기 샘은 어느 덧 부모의 관계에 대해 의문이 생길 만큼 자랍니다.

그 사이 어정쩡한 생활에 회의를 느끼게 된 애비에게도 사랑하는 사람이 나타나고요.


 

여기서부터 일이 복잡해지기 시작해요.

게다가 샘이 로버트의 아이가 아니라는 것도 중간에 밝혀지거든요.(애비의 속단이었던 거죠.)

애비가 결혼을 결심하게 되면서 공동 양육권을 주장할 수 없게 된 로버트의 고군분투가 시작됩니다만..............

 

일단, 표면적으로는 해피한 엔딩 같아 보입니다.

이성애 중심 교육에 방치되어 온 우리의 시각이 전부 라면요.

그러면 로버트의 권리는 안드로메다에서 찾아 와야 할까요?

옛다 떡 한 개로 밖에 보이지 않았던 결말이 가슴 아팠다는..........

 


돈 매클린 원곡 버젼


여러 버전으로 리메이키 된 이 곡은 지금까지도 잇슈가 되고 있는 대단한 노래였어요. ㅎ

상세 출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bpark326&logNo=220611500749


" 지난 45년동안 사람들의 관심이 돈 맥클린 자신보다는 이 음악에 관심의 초점을 맞추어 온 경향이 있다.  

아메리칸 파이 가사의 의미는 신문, 방송, 그리고

 TV 프로그램, 인터넷 뉴스그룹 그리고 무수한 웹사이트들에서 논의되어 왔었다.


이미 발표된 해설은

항상 지은이 돈 맥클린이 이 노래의 의미에 대해서 결코 언급하거나

뜻을 표현해 보이지 않는다고 시작한다.  


돈 맥클린은 귀절 귀절의 의미를 해석해 보이지는 않았고,

이 노래에 대해서 길게 설명하지도 않았지만

이 대작을 쓰는데 있어서 관련된 사고과정(Thought process)에 대하여

많은 실마리를 제공해 주었다.